K-패스 신청 방법 및 6개 카드사별 혜택 정리

K-패스 신청 방법 및 카드사별 혜택 정리

K-패스란?

K-패스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국민들에게 주는 혜택입니다.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지출한 금액의 일정 비율을 다음 달에 환급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 이에 신청 방법 및 카드사별 혜택에 대해 정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K-패스 이용 가능 지역

K-패스는 전국 대부분 도시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다만, 인구수가 10만 명 이하인 일부 지자체는 제외되며, 사전 예약이 필요한 시외버스, 고속버스, KTX, SRT 등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

K-패스 환급 비율

일반: 20% 환급

청년 (만 19세~34세): 30% 환급

저소득층: 53.3% 환급

k패스 홈페이지 바로가기

K-패스를 사용 시 절약되는 금액 계산

일반인 (20% 환급): 월평균 70,000원의 대중교통비를 사용하는 경우, 월 14,000원을 절감하므로 연간 약 168,000원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청년층 (30% 환급): 월평균 70,000원의 대중교통비를 사용하는 경우, 월 21,000원을 절감하므로 연간 약 252,000원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저소득층 (53.3% 환급): 월평균 70,000원의 대중교통비를 사용하는 경우, 월 37,310원을 절감하므로 연간 약 447,720원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 자동차 환급금 조회 방법 및 신청하기

K패스 카드 신청방법

K-패스 홈페이지 접속: 먼저 K-패스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회원가입: 본인 인증과 이메일 인증을 통해 간단하게 가입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후 K-패스 카드 발급 신청 메뉴 접속: 회원가입 완료 후 로그인하면 K-패스 카드 발급 신청 메뉴를 찾을 수 있습니다

카드사 선택: 원하는 카드사의 K-패스 카드를 선택하고, 선불 교통카드 또는 후불 교통카드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본인 명의 휴대전화나 인증서를 통한 신청 완료: 본인 명의의 휴대전화나 인증서를 통해 신청을 완료합니다

카드 발송: 신청 완료 후 약 1주 내에 우편을 통해 K-패스 카드가 발송됩니다

K-패스를 이용 가능 대중교통 4가지

버스: 시내버스, 마을버스, 광역버스 등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지하철: 전국의 지하철 노선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신분당선: 신분당선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GTX: GTX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K-패스 카드사별 특별 혜택

카드사특별 혜택
하나카드대중교통 10% 할인, 드럭스토어 (다이소, 올리브영) 1%Ⅰ10% 할인, 커피 (스타벅스,커피빈) 1%Ⅰ10% 할인1
국민카드대중교통 10% 적립, 생활서비스 (통신요금, 커피, 약국, 편의점, 영화, 패스트푸드 업종) 1%Ⅰ5% 적립, KB Pay (생활서비스 영역) 1%Ⅰ5% 적립1
신한카드대중교통 10% 할인, 간편결제 (신한쏠, 삼성, 카카오페이) 2%Ⅰ5% 할인, 생활서비스 (배달앱, 편의점, 커피, 올영, 병원/약국, OTT) 2%Ⅰ5% 할인1
농협카드버스/지하철 10% 캐시백, 렌터카/카쉐어링 5% 캐시백, 전기차 충전 5% 캐시백, 이동통신요금 5% 캐시백 (월3천원), 커피전문점 5% 캐시백 (월2천원), 편의점 5% 캐시백 (월1천원)1
우리카드버스, 지하철 3천원 캐시백, 11번가, G마켓, 쿠팡 2천원 캐시백, CGV, 롯데시네마 5천원 캐시백, 편의점 1천원 캐시백, YBM NET, 해커스 어학원 3천원 캐시백, 스타벅스 2천원 캐시백, 3대 간편결제 1천원 추가 캐시백1
삼성카드대중교통 10% 캐시백, 이동통신 10% 캐시백, 편의점/커피전문점/제과 1,000원 캐시백, CGV 3,000원 할인1
BC카드버스/지하철 10% 캐시백, 다이소/올리브영 1% 캐시백, 스타벅스/커피빈 1% 캐시백